■ 주요구조활동
1987. 7. 18 |
울산바위 동쪽 벽 200m 하단 속칭 흑지사 동북당 100m 지점에서 울산 바위 암벽등정을 마치고 속칭 동토굴 베이스캠프로 하산 도중, 3명 모두 산사태로 사망, 구조 출동 |
1988. 5. 3 |
남설악 관터골로 입산했던 등산객 9명이 대청봉에서 1박후 화채능선으로 하산하다 칠성봉 부근에서 길을 잃고 무전 교신으로 구조 요청. 본 대원 15명이 출동해 화채능선 칠성봉 소토왕골 아래 5백m 지점에서 구조, 전원 무사히 하산 유도 |
1989. 10. 2 |
천불동계곡에서 등산객 2명이 폭우로 인해 불어난 계곡급류에 실족 사망. 사체인양작업에 참여 |
1990. 10. 1 |
폭우로 인해 계곡물이 넘쳐 등산객 7백여명이 고립. 비선대위 토막골 입구에서 계곡 양쪽으로 자일을 설치해 안전하산 유도 |
1995. 10. 7 |
천화대 왕관바위에서 일행 8명이 암벽 훈련 중 1명이 추락. 두부가 손상되고 목뼈가 부러지는 골절상으로 군부대 헬기를 지원받음. 헬기가 사고지점에 착륙할 수 없어 환자를 헬기접근 가능 장소로 운반, 헬기로 수송해 병원으로 후송. |
1998. 1. 14 ~ 24 |
토왕골 눈사태 조난사고 구조 / 설악산 토왕성폭포 빙벽훈련을 위해 토왕골에서 야영을 하던 경북대 산악부 6명과 이를 구하기위해 나섰던 전북산악연맹 대원 2명이 눈사태로 매몰되는 조난사고 발생. 사고당일부터 장장 10일 동안 구조활동과 사고수습에 연인원 1백10명의 대원이 동원. |
5. 25 |
마등령에서 공룡능선 등반하던 등산객 1명이 잦은 바위골로 잘못 진입해 백미(100m)폭포 상단 암벽 선상에 고립. 구조대가 수색중에 발견해 관리공단 헬기를 이용해 후송. |
9. 27 |
설악산 공룡능선 1275봉에서 모집등반(인천 삼화관광)으로 무박 2일 산행 중 급체로 인한 탈진으로 사고자만 나두고 일행은 시간관계상 전원하산. 16시경에 사고를 접수해 다음날 0시30분에 구조 하산완료, 병원 이송 |
1999. 7. 17 |
비선대 앞 적벽 등반 추락사고 확보물 하켄이 빠지면서 일어난 사고로 등반 중 오래된 확보물은 안전을 확인한 후 확보해야 하는 교훈을 준 사고임 |
7. 17 |
무리한 산행으로 큰 사고가 날 뻔했던 사고. 등산객 9명은 희운각을 출발하여 공룡능선길로 진입 신선봉에서 일행 중 안가본 길로 가보자 하는 제의로 양폭산장 뒤쪽능선을 통하여 용소골 칠형제봉을 지나 잦은 바위골 백미폭 상단 부근에서 구조요청. 구조대원 출동하여 밤을 꼬박 세워 구조 전원 무사히 하산하였음. 주의)공룡능선상에서 잘못 진입으로 인하여 위 장소에서 많은 사고발생지역으로 사망사고가 제일 많은 곳임. 확실히 등산로를 알지 못하면 무리한 산행을 자제할 것을 당부드림. |
2002. 1. 8 |
악천 후 동반 중 1명 사망사고. 강풍으로 인하여 강추의 속에서 입산금지령이 내려진 가운데 무단입산으로 탈진한 상태에서 1명구조 1명 동사한 사고임. 고랭능선 -> 마등령구간. 마등령 정상에서 오세암 방향 100M 지점에서 사고 |
7. 24 |
- 장소 : 울산 바위 P3 하단부근(하나로 되는길) - 원인 : 일기불순(우천)으로 등반로 미끄럼(이끼 등)으로 출발점까지 추락(약 50m 정도) - 구조 : 대원 출동(헬기이동) 사고지점에서 헬기하강후 P3에서 촛대바위까지 티롤리안 브릿지로 환자후송후 헬기 구조 이동, 병원후송 * 마치 외국영화 '클리프행어'를 연상케 하였던 구조. |
10. 19 |
- 장소 : 희운각 - 원인 : 하산 중 미끄러지며 실족 - 구조 : 통증호소 희운각 1박한후 다음날 대원출동, 환자상태 양호, 구조대원 맥풀림(이러한 사고 접수 다수), * 가능하면 자력 하산 해보세요! |
2003. 8 |
- 장소 : 울산바위 - 원인 : 울산바위 릿지 등반중 추락사고 |
8. 16 |
- 장소 : 울산 바위 P17~P18봉 사이 안부 - 원인 : 등반도중 추락 허리와 다리 골절상 - 구조 : 울산암 릿지 등반도중 선등자 추락 사고접수 후 현장 출동 병원으로 후송 조치 |
10 |
- 장소 : 공룡능선 - 원인 : 공룡능선 등반중 추락사고 |
10. 11 |
- 장소 : 공룡능선 초입 신선봉 - 원인 : 무리한 산행으로 탈진 다리골절(헬기후송) - 구조 : 신선봉으로 사고신고 접수, 구조대원 사고현장 접근 다리골절 확인후, 119에 헬기요청 헬기로 병원 후송 |
2004. 6월 |
토왕성 계곡 및 선녀봉 일대 토왕골좌우 능선 소토왕계곡. 노적봉릿지 및 좌우측 계곡 칠성봉 일대. 화채봉 중심으로 핏골계곡. 민경대등 수 일 수색함 7월 속초설악산악연맹 회원과 실종자 수색에 나서 실종 21일만에 소토왕골에서 칠성봉사이에서 시신 발견 한 사고임. |
8. 3 |
- 장소 : 적벽 - 원인 : 적벽 등반후 하강 루트 잘못잡고 하강중 자일 15m 정도 모자라 메달려 있는 상태에서 사고접수. 긴급출동 무사히 하강할 수 있도록 조치 - 구조 : 사고 지점으로부터 가까이 있는 산악인과 협조 무사히 하강 |
8 |
장애인협회에서 무리한 산행으로 인하여 탈진 |
8 |
적벽등반후 하강루트 잘못 선정 하강후 자일이 모자란 상태에서 구조 |
9 |
탈진 및 지리 미숙으로 야간산행중 길을 잃은 사고 |
9 |
- 장소 : 적벽 - 원인 : 등반중 카라비너개페구 열려 추락, 확보줄에 불량 카라비너사용. 주자일에서 분리되어 추락 |
2005. 1 |
토왕성 폭포 상단 확보지점 설치중 바일빠일 빠지며 추락 등반대기중인 사람이 추락자 아이젠에 부상당한 사고(추락자 목뼈이상) |
2 |
토왕성 폭포 빙벽 등반중 25m추락 늑골 및 다리 골절 사고 |
10 |
공룡능선 1275봉에서 실록 다리골절 및 늑골이상 찰과상등 심한 부상사고 |
2006. 7 |
집중호우로 인한 실종자 수색. 인제군 덕적리계곡마을 수해로 인하여 인명 및 가구 피해지 봉사활동자 출동하여 실종자 수색 및 구조품 운반등을 도와줌 |
8 |
노적봉 릿지 등반후 신중 낙석에 의한 사고 |
2007. 10 |
법봉에서 하산중 갑골견 부위 부상으로 인한 사고 |
2008. 7 |
천화대 등반중 추락사고 |
7 |
큰황새골 인근에서 조난 저항계곡으로 무단입산 산행중 호우로 인하여 길을 잃고 사고지점에서 바위를 안고 넘어지며 다리 골절 부상 및 길을 잃고 구조요청한 사고 |
2009. 10. 12 |
![]() ㆍ사고조치 : 응급처치(두부출혈, 어깨골절)후 후송 ㆍ사고예방 : 등반 루트의 개념을 숙지하고 확보물(캠, 퀵드로우 등)을 안전하게 설치후 등반 |
2010. 3. 2 |
![]() ㆍ사고조치 : 사고자 1명 당일구조 ,2명사망 ㆍ사고예방 : 눈사태는 산지, 협곡의 경사면에 쌓인 눈이 기온 바람, 눈층의 수분, 충격등의 작용과 지형적인 특성 때문에 자체의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미끄러져 내리는 현상이다. 시간당 2.5cm이상의 강설량이나 30cm이상의 적설량이 있을 때 나타나므로 기상 상태를 수시로 파악한다. |
7. 11 |
![]() ㆍ사고조치 : 안전로프 설치 후 전원 구조 ㆍ사고예방 : 산행 전 기상정보를 반드시 확인하고 폭우로 인한 계곡 범람시 안전한 장소로 이동하고 구조를 요청한다 |
12. 23 ~ |
![]() ㆍ사고조치 : 조난자 가족이 보내준 사진을 활용하여 현장 지리에 밝은 직원이 위치를 추정하여 조난자를 구조한 사례 ㆍ사고예방 국립공원에서는 정규탐방로만 이용하고 기상특보 발령시 산행을 자제한다 |
2011. 1. 15 |
![]() ㆍ사고조치 : 민, 관 합동구조대와 운영하여, 2인 1조등반으로 추락자 수습 ㆍ사고예방 : 빙벽 등반시 기존 확보물만을 사용하지 말고 스크류, 슬링 등을 설치해 이중 확보를 안전하게 설치한다. |
■ 년간 사고 및 구조현황 (1987년~2014년)
사고별 | 실족 | 등반사고 | 급류익사 | 폭우고립 | 자살 | 탈진 | 기타 | 계 | |
1987 | 구조 | 5 | 21 | 490 | 4 | 520 | |||
사망 | 3 | 2 | 2 | 1 | 8 | ||||
1988 | 구조 | 12 | 11 | 30 | 10 | 63 | |||
사망 | 2 | 5 | 3 | 1 | 11 | ||||
1989 | 구조 | 10 | 27 | 780 | 13 | 830 | |||
사망 | 3 | 3 | 1 | 1 | 8 | ||||
1990 | 구조 | 2 | 27 | 1 | 21 | ||||
사망 | 3 | 2 | 1 | 10 | |||||
1991 | 구조 | 2 | 18 | 2 | 8 | 11 | |||
사망 | 2 | 7 | 3 | 16 | |||||
1992 | 구조 | 4 | 7 | 28 | 3 | 43 | |||
사망 | 2 | 3 | 1 | 2 | 1 | 10 | |||
1993 | 구조 | 1 | 8 | 157 | 6 | 173 | |||
사망 | 1 | 4 | 2 | 3 | 2 | 12 | |||
1994 | 구조 | 5 | 9 | 6 | |||||
사망 | 5 | 4 | 1 | 4 | 1 | 15 | |||
1995 | 구조 | 13 | 1 | 6 | 5 | 35 | |||
사망 | 4 | 1 | 4 | ||||||
1996 | 구조 | 11 | 1 | 1 | 22 | ||||
사망 | 3 | 3 | 1 | 3 | 8 | ||||
1997 | 구조 | 10 | 5 | 1 | 2 | 2 | 20 | ||
사망 | 5 | 2 | 1 | 8 | |||||
1998 | 구조 | 5 | 7 | 6 | 7 | 26 | |||
사망 | 1 | 2 | 8 | 11 | |||||
1999 | 구조 | 1 | 4 | 1 | 6 | ||||
사망 | 2 | 1 | 3 | ||||||
2000 | 구조 | 11 | 11 | ||||||
사망 | 5 | 5 | |||||||
2001 | 구조 | 1 | 5 | 5 | 2 | 13 | |||
사망 | 2 | 2 | |||||||
2002 | 구조 | 5 | 4 | 7 | 4 | 20 | |||
사망 | 2 | 3 | 5 | ||||||
2003 | 구조 | 3 | 5 | 2 | 10 | ||||
사망 | 2 | 2 | |||||||
2004 | 구조 | 4 | 7 | 4 | 15 | ||||
사망 | 2 | 2 | |||||||
2005 | 구조 | 7 | 8 | 2 | 17 | ||||
사망 | |||||||||
2006 | 구조 | 3 | 6 | 4 | 13 | ||||
사망 | |||||||||
2007 | 구조 | ||||||||
사망 | |||||||||
2008 | 구조 | ||||||||
사망 | |||||||||
2009 | 구조 | 2 | 4 | 6 | |||||
사망 | |||||||||
2010 | 구조 | 2 | 3 | 5 | |||||
사망 | |||||||||
2011 | 구조 | 1 | 3 | 4 | |||||
사망 | 2 | 2 | |||||||
2012 | 구조 | 1 | 2 | 2 | 5 | ||||
사망 | |||||||||
2013 | 구조 | 3 | 4 | 6 | 13 | ||||
사망 | |||||||||
2014 | 구조 | 5 | 18 | 23 | |||||
사망 | |||||||||
합 계 | 구조 | 107 | 202 | 1493 | 1 | 109 | 26 | 1923 | |
사망 | 18 | 52 | 14 | 25 | 10 | 19 | 134 |
■ 구조활동 현황(1987년~2014년)
년도 | 사고횟수 | 출동인원 | 구조인원(년인원) | 사망인원 |
1987 | 16 | 112 | 520 | 8 |
1988 | 25 | 128 | 63 | 11 |
1989 | 18 | 117 | 830 | 8 |
1990 | 21 | 178 | 21 | 10 |
1991 | 25 | 195 | 11 | 16 |
1992 | 20 | 181 | 43 | 10 |
1993 | 18 | 160 | 173 | 12 |
1994 | 12 | 177 | 6 | 15 |
1995 | 39 | 249 | 38 | 4 |
1996 | 29 | 193 | 22 | 8 |
1997 | 26 | 112 | 20 | 8 |
1998 | 21 | 198 | 26 | 11 |
1999 | 6 | 37 | 6 | 3 |
2000 | 13 | 53 | 11 | 5 |
2001 | 11 | 74 | 13 | 2 |
2002 | 25 | 114 | 23 | 5 |
2003 | 14 | 36 | 24 | 2 |
2004 | 20 | 114 | 39 | 2 |
2005 | 14 | 50 | 17 | 0 |
2006 | 13 | 68 | 18 | 0 |
2007 | 5 | 32 | 5 | 0 |
2008 | 15 | 83 | 16 | 0 |
2009 | 6 | 38 | 6 | 0 |
2010 | 5 | 32 | 5 | 0 |
2011 | 6 | 40 | 4 | 2 |
2012 | 4 | 27 | 5 | 0 |
2013 | 11 | 75 | 13 | 0 |
2014 | 19 | 105 | 23 | 0 |
합계 | 457 | 2978 | 1998 | 142 |
■ 사고예방 대책
[산악단체] 각 단체의 등반시 충분한 현지의 사전지식과 유능한 리더의 인솔로 계획성 있는 등반활동
[일반관광단체-고산등반]
1. 현지의 유능한 가이드 선정 (풍부한 경험과 현지 사정에 밝은 가이드 선정)
* 무경험자 인솔 및 경험부족의 타 가이드 인솔지양
* 산행당일 기상예보 파악 후 등반
2. 단체의 나이, 체력을 감안 적정 등반
3. 수학여행단 교사의 인솔 경혐부족으로 인한 무질서 등반을 지양하고 현지 사정과 인솔 경험이 풍부한 가이드의 선정